티스토리 뷰

반응형

문법.

HTML에는 문법이 존재한다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c, c++, java 등)같은 언어와 달리 웹의 기본적인 요인이 받혀주기 때문에 문법이 존재한다(당연히 프로그래밍 언어에도 절차지향성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만 성향 자체가 다르다).

먼저, 알아야 할것은 태그이다.

태그란? 정보(콘텐츠)를 정의하는 형식이며 <></>로 시작과 끝을 구분합니다. 이러한 태그들은 콘텐츠들을 감싸며, 태그명은 구분과 기능을 나태냅니다(하지만, 단일 태그는 끝 태그없이도 끝낼 수 있다).

 

기본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이 들어가야 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코드로 세세하게 달아 놓았습니다.

<!-- HTML5 문서임을 알리는 지시어 -->
<!DOCTYPE html>
<!-- html을 시작과 끝을 알리는 태그 -->
<html>
    <!-- 설정 태그 -->
    <head>
    </head>
    <!-- 실제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될 내용을 입력하는 태그이다. -->
    <body>
    </body>
</html>
undefined

위와 같이 <!DOCTYPE html>은 우리가 HTML5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며, <html></html>안에서 모든 구문들을 기입해야 한다. 그렇게 <head></head>, <body></body> 순으로 태그의 이름으로만 알 수 있게 단락이 구분되어 설정할 수 있다(script와 style 태그는 CSS, JavaScript로 대체 되기에 설정하든 안하든 상관이 없다).

 


주석.

주석은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이 TODO. 설명, 코멘트를 남기기 위한 용도이며 당연히 코드를 실행하는데 있어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문법은 '<!-- -->', '//' 같은 방식이지만, 간편하게 'ctrl + /'으로 해당 구분에 맞는 주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태그.

태그란? 우리가 HTML에 문서를 다루기 위한 기초적인 기능으로 강조를 하거나 단락을 나눌때 등 여러가지 용도로 용의하게 만드는 것이다.

 

<meta>

더보기

meta 태그란? HTML 문서에 대한 메타데이터라 즉, 정보를 지칭하며 항상 태그안에 들어가야 한다. 이러한 태그들은 사용하는데 있어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므로 검색엔진에 대한 참고를 할 수 있으며 반영도 가능하다.

특성 내용
content 메타데이터의 내용.
charset 해당 문서의 문자 인코딩 방식을 명시하며 명확하게는 문자 인코딩, 문서 키워드의 요약 정보를 기입하는 태그이며, 여기서 문자 인코딩은 한글을 표시하기 위해 문자 세트를 지정하는 작업으로, 영문과 한글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utf-8'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http-equiv 콘텐츠 속성 정보에 대한 http헤더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name name은 말 그대로 이름을 부여하여 'content'과 같이 이용해 해당 쌍을 이루어 구분하고 사용할 수 있다.
viewport 뷰포트는 우리가 보는 화면의 영역을 의미하며, 우리가 기기의 발전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다 점점 발전하며 스마트폰 같은 화면이 작아지고 비가 커지며 콘텐츠들이 화면에 벗어나거나 맞지 않는 상황에 그 영역에 맞게 표현하고자 해당 태그 방식이 생겨났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meta
 

<meta>: 문서 레벨 메타데이터 요소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meta> 요소는 <base>, <link>, <script>, <style>, <title>과 같은 다른 메타관련 요소로 나타낼 수 없는 메타데이터를 나타냅니다.

developer.mozilla.org

 

 

<title></title>

undefined



 

<h1></h1>

 

<hr>

 

<p></p>

 

HTMl 텍스트.

더보기

HTML에서의 텍스트는 p 태그를 이용하여 쓰더라도 공백은 하나밖에 인정을 안한다. 즉, 내가 어떻게 들여쓰기를 하더라도 인식을 하지 않는다는것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태그 또는 기능을 써야 한다.

식별 내용
<br> 해당 태그는 단일태그로 줄바꿈을 해준다.
&nbsp 해당 기능은 들여쓰기 즉, 'Tab'과 같은 기능으로 작동한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br

 

<br>: 줄바꿈 요소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br> 요소는 텍스트 안에 줄바꿈(캐리지 리턴)을 생성합니다. 주소나 시조 등 줄의 구분이 중요한 내용을 작성할 때 유용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영역 할당.

더보기

해당 영역 할당 요소에는 블록과 인라인이 있으며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식별 내용
블록 레벨 해당 요소는 자신의 속한 영역을 할당하여 블록형식의 너비를 얻어 그 안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요소이다.
대표적으로는 <p>, <hr> 등 태그와 같은 블록 라벨로 이루어져 있다.
인라인 인라인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영역만 따로 나누어 영역을 얻는 방식이다.

인라인.

식별 내용
<strong> strong 태그는 감싸고 있는 콘텐츠 즉, 텍스트를 굵게 표시하는 태그이다.
<em> em 태그는 감싸고 있는 콘텐츠 즉, 텍스트의 기울여 표시하는 태그이다.
<mark> mark 태그는 감싸고 있는 콘텐츠 즉, 텍스트의 형광으로 표시하는 태그이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strong

 

<strong>: 강한 중요 요소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strong> HTML 요소는 강한 중요성, 중대함 혹은 긴급한 내용임을 나타냅니다. 브라우저는 일반적으로 이 내용을 굵은 글씨로 렌더링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em

 

<em>: 강세 요소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em> 요소는 텍스트의 강세를 나타냅니다. <em> 요소를 중첩하면 더 큰 강세를 뜻하게 됩니다.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mark

 

<mark>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mark> 요소는 현재 맥락에 관련이 깊거나 중요해 표시 또는 하이라이트한 부분을 나타냅니다.

developer.mozilla.org

 

 

<img src="">

더보기

img 태그는 단일 태그로 이미지를 표시할때 사용하고 설명을 적어 이미지가 분실되거나 오류로 인해 출력이 안될경우 또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이미지 소스는 jpg, webp로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width="", height="" 으로도 사용가능하며 픽셀(px)단위로 작동한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img

 

<img>: 이미지 삽입 요소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img> 요소는 문서에 이미지를 넣습니다.

developer.mozilla.org

 

컨테이너

더보기

 

전역속성

더보기

전역 속성: 모든 HTML 태그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이다. 속성이란 태그의 부가적인 기능을 정의하는 것으로 따로 정의를 안해도 상관없다. 속성은 시작 태그 내부에서 정의하며 속성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은 다음과 같다.

식별 내용
id 요소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 식별자 역할 속성.
class 요소를 그룹 별로 묶을 수 있는 식별자 역할 속성.
style 요소에 적용할 css 스타일을 선언하는 속성.
title 요소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텍스트 속성. 사용자에게 툴팁 제공.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Global_attributes/id

 

id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The id global attribute defines an identifier (ID) which must be unique in the whole document.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Global_attributes/class

 

class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The class global attribute is a list of the classes of the element, separated by ASCII whitespace.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Global_attributes/style

 

style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The style global attribute contains CSS styling declarations to be applied to the element. Note that it is recommended for styles to be defined in a separate file or files. This attribute and the <style> element have mainly the purpose of allowing for quic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Global_attributes/title

 

title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The title global attribute contains text representing advis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ment it belongs to.

developer.mozilla.org

 

 

링크

더보기

a 태그를 이용한 href 속성을 통해 다음 페이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와 다른 url을 연결할 수 있는 링크를 생성한다. 인라인 요소이며, 주로 링크의 목적지를 나타낸다.

식별 내용
url 주소를 나타내는 속성.
target _self, _blank; 해당 url에 접속할경우 현재 페이지 또는 새로운 페이지에서 열지 결정하는 속성.
tel, mailto tel은 전화번호를 나타내며, mailto는 메일을 나타내는 속성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a

 

<a>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a> 요소(앵커 요소)는 href 특성을 통해 다른 페이지나 같은 페이지의 어느 위치, 파일, 이메일 주소와 그 외 다른 URL로 연결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를 만듭니다. <a> 안의 콘텐츠는 링크 목적지

developer.mozilla.org

 

 

목록

더보기

목록은 연관 있는 항목(item)들을 나열한 것을 의미하고 HTML 목록은 '순서 없는 목록'으로 구분된다.

식별 내용
<li></li> li 태그의 경우에는 자신이 나열하고자 하는 태그 안에 항목을 지정하는 태그이다 (항목 지정) .
<ul></ul> 항목을 지정하며 목록안에 다른 태그의 목록 태그들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순서 없는 목록).
<ol></ol> 항목을 지정하며 위와 같이 목록 태그로 감싸기가 가능하고 이외에도 <ol type="">을 이용하여 숫자, 로마 숫자, 알바벳으로 지정하여 순서를 표현할 수 있다. (순서 있는 목록)
<dl></dl> 기본적으로 <dt></dt>, <dd></dd> 태그를 사용하며 dt(Descrition Term) 태그는 항목의 이름과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의미하고 dd(Description-Description) 태그는 해당 항목의 설명을 나타내는 태그이다 (설명 있는 목록)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li 

 

<li>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li> 요소는 목록의 항목을 나타냅니다. 반드시 정렬 목록(<ol>), 비정렬 목록(<ul>, 혹은 메뉴(<menu>) 안에 위치해야 합니다. 메뉴와 비정렬 목록에서는 보통 불릿으로 항목을 나타내고, 정렬 목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ul

 

<ul>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ul> 요소는 정렬되지 않은 목록을 나타냅니다. 보통 불릿으로 표현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ol

 

<ol>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ol> 요소는 정렬된 목록을 나타냅니다. 보통 숫자 목록으로 표현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dl

 

<dl> 설명 목록 요소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dl> 요소는 설명 목록을 나타냅니다. <dl>은 <dt>로 표기한 용어와 <dd> 요소로 표기한 설명 그룹의 목록을 감싸서 설명 목록을 생성합니다. 주로 용어사전 구현이나 메타데이터(키-값 쌍 목록)

developer.mozilla.org

 

 

<input type="">

더보기

사용자로부터 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대화형 컨트롤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인라인 요소이며, 단일 태그이다. input은 type이란 속성이 있는데, type의 값에 따라 입력 요소의 형태나 입력 데이터 유형 등이 달라진다. type의 유형은 20가지이며, 기본값은 text이다. 몇가지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식별 내용
text 기본 값이며 단일 줄 텍스트 필드로 줄 바꿈은 입력 값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maxLength, placeholder; 최대 문자 길이, 입력전 텍스트 문구를 지정할 수 있는 태그들이 추가로 있다).
button 말 그대로 버튼이며, 기본적으로 값은 비어있다(value; 버튼안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color 색상을 지정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며, 색상 선택기가 열린다.
range 지정한 범위에 값을 지정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며, 중간 값으로 기본 설정되고 최댓값과 최솟값을 지정하여 사용한다(min, max, step; 최소, 최대, 단위).
date 날짜를 지정할 수 있는 컨트롤러이며, 년, 월, 일를 설정한다.

이외에도 name으로 식별자를 추가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입력 항목에 대한 이름으로 javascript, 서버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할 수 있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Element/input

 

<input>: The HTML Input element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The <input> HTML element is used to create interactive controls for web-based forms in order to accept data from the user; a wide variety of types of input data and control widgets are available, depending on the device and user agent. The <input> element

developer.mozilla.org

 

<select></select>

더보기

select 태그는 다수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는 선택 메뉴이며, 메뉴 안에 포함되는 옵션은 <option></option>으로 감싸야 한다. select 태그에서는 name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option 태그에서는 value 처리될 값을 처리할 수 있으며 selected로 처음 선택된 값을 지정할 수도 있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Element/select

 

<select>: The HTML Select element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The <select> HTML element represents a control that provides a menu of options.

developer.mozilla.org

 

<textarea></textrea>

더보기

texture는 여러 줄의 일반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요소이며, name을 추가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외에도 cols, rows를 이용하여 행과 열을 조정할 수 있다(하지만, 각 기호들의 크기가 다르므로 어느정도의 오차는 있을 수도 있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Element/textarea

 

<textarea>: The Textarea element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The <textarea> HTML element represents a multi-line plain-text editing control, useful when you want to allow users to enter a sizeable amount of free-form text, for example a comment on a review or feedback form.

developer.mozilla.org

 

<form></form>

더보기

form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form은 입력 요소들을 감싸며, 입력 값을 서버 측으로 제출할 수 있다.

식별 내용
action 값을 전송할 서버의 url(여기서 php파일을 이용하여 시험삼아 해보는것이다).
method 클라이언트가 입력할 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전송할지 정한다(Get, Post; 데이터를 url과 구분자 뒤에 양식을 연결하여 전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본문으로 양식을 전송한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form

 

<form>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form> 요소는 정보를 제출하기 위한 대화형 컨트롤을 포함하는 문서 구획을 나타냅니다.

developer.mozilla.org

 


여기까지가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HTML의 기능들이라고 한다. 더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추후에 수정을 통해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